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급등하며 다시 최대폭을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우려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에 따라 금값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오늘은 금값 정보 및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오늘의 금값 정보
1.1 오늘의 금값 시세
1.2 국제 금값 현황
2. 금값 상승 이유
2.1 10일, 국제 금값 급등
2.2 미국 5월 CPI 지수 8.6% 급등
2.3 러-우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기조
2.4 연준 인플레이션 못 잡는다, 비관론 확산
3. 금값 전망
3.1 3개월 연속 CPI 지수 8% 유지, 인플레 정점 아직 아니다
3.2 연준 자이언트 스텝 감행하나?
3.3 인플레이션 원인, 러-우 전쟁 장기화
3.4 러-우 전쟁 종착점은 가을
1. 오늘의 금값 정보
1) 오늘의 금값 시세
제품 | 내가 살 때 [원] | 내가 팔 때 [원] |
24k 순금 | 332,000 | 298,5000 |
18k | 0 | 214,600 |
14k | 0 | 165,400 |
백금 | 167,000 | 142,000 |
은 | 3,930 | 3,280 |
22년 6월 11일 0시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1돈은 33만 2000원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2) 국제 금값 현황
인베스팅 닷컴에 따르면, 국제 금 선물 가격은 6월 12일 기준 온스당 1875달러 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800달러 초반을 기록했던 국제 금값이 10일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이후 급등한 것으로 보입니다.
2. 금값 상승 이유
1) 10일, 국제 금값 급등
6월 1800달러 상,하단으로 박스권을 이어가던 국제 금 선물 가격은 미국 CPI 지수 발표로 하루 만에 박스권 하단에서 상단으로 껑충 뛰어올랐습니다.
2) 미국 5월 CPI 지수 8.6%급등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8.6% 급등한 것으로 발표됐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1981년 이후 최대폭 증가 기록을 다시 경신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월스트리트 저널의 전문가들의 전망치였던 8.3%를 넘어선 결과이기도 합니다.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CPI 지수 발표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심화되며 금값이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3) 러-우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기조
고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원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뽑히고 있습니다. 러-우 전쟁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과 식료품 가격이 크게 치솟으면서 높은 인플레이션 기조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빵바구니라고 불리며 최대 곡물 생산국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와 최대 에너지 수출국 중 하나인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해 곡물과 에너지에 대한 수출이 어려워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곡물 가격과 에너지 가격이 폭등한 것입니다.
국제유가 현황을 보면 WTI유 선물가격이 21년 6월에 비해 2배 상승한 배럴당 120달러 선까지 급등했으며, 국제 유가에 맞춰 기름값이 폭등하면서 높은 인플레이션 기조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6월 초 EU가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단계적 제재안을 채택함에 따라서 국제 유가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며, 연말 15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4) 연준 인플레이션 못잡는다, 비관론 확산
5월 FOMC 회의에서 미국 연준이 50bp 금리인상으로 빅 스텝을 결정하였지만 소비자 물가지수는 쉽게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9일 월가의 헤지펀드 거물로 불리는 아인혼 CEO는 '미국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는 것처럼 허세를 부리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촉구했습니다.
연준은 미국의 경기침체를 우려해 급격한 금리인상을 꺼리고 있는데요, 이에 연준의 인플레이션 통제에 대한 비관론이 확산되며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3. 금값 전망
1) 3개월 연속 CPI 지수 8% 유지, 인플레 정점 아직 아니다
CPI 지수가 전문가의 예상치를 뛰어넘어 다시 최고폭을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 정점론이 힘을 잃고 침체공포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가격 폭등이 인플레이션을 이끌고 있는데요, EU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는 제재안을 채택함에 따라 OPEC+의 증산 결정에도 국제 유가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현재 코로나19로 상하이를 다시 봉쇄하는 등 조치를 감행하고 있는 중국이 코로나19 정점을 지나며 주요 도시에 대한 봉쇄 조치가 풀릴 경우 원유 수유가 다시 증가하며 국제유가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러-우 전쟁이 지속되는 한 인플레이션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이 예측하고 있습니다.
2) 연준 자이언트 스텝 감행하나?
CPI 지수가 다시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에 대한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정점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5월 CPI 지수가 예상치 혹은 예상치 이하로 나오는 것이 중요했지만,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5월 CPI 지수 발표로 연준의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감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6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75bp 감행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감행할 것이라는 예상안도 나오고 있는데요, 연준이 경기침체를 감수하고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이어갈 경우 상승한 금값은 충격을 받아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3) 인플레이션 원인, 러-우 전쟁 장기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전선이 동부전선으로 축소되며 전쟁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전쟁 초기 목표였던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점령을 실패한 러시아는 차기 목표인 우크라이나 동남부 점령으로 전략을 변경하였습니다.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의 지리적 고립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우크라이나 남부 해안 도시와 동부 돈바스 지역을 점령한다면, 러시아 측은 육로로 크림반도와 러시아가 이어지기 때문에 크림반도 합병 이후 겪은 보급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크림반도는 러시아가 흑해와 아라비아해까지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하기 때문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에 호시탐탐 눈독을 들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클릭]러시아가 크림반도 및 우크라이나 영토에 집착하는 이유는?
현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점령지에 대해 여권을 발급하고 편입 주민투표를 준비하는 등 크림반도 강제병합 때와 같은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평화협상에 응한다면 크림반도까지는 양보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으나, 러시아가 침공 초기 목표였던 크림반도의 지리적 고립 해소를 달성한 지금 돈바스 지역과 남부 해안 지역에 대한 포기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평화협상이 성사되더라도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에 대한 확실한 점령에 성공한 러시아 측의 병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협상이 지지부진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러-우 전쟁의 종착점은 가을
동부 전선으로 고착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교착상태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러-우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붕괴와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 여파로 에너지와 식량난이 가속화되면서 전 세계 경제가 휘청이고 있습니다.
현재 러시아는 난방수요가 다시 급증하는 가을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러시아 입장은 난방수요가 급증하는 가을이 오면 에너지 가격으로 인한 경제적 압력을 버티지 못한 서방국가들이 결국 백기를 들것이라는 주장입니다.
러시아가 가을을 언급한 것을 감안하면 최소 러-우 전쟁이 연말까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며, 난방수요가 급등하는 가을이 러-우 전쟁의 승패가 뚜렷하게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연준의 통화정책이 금값에 하락 충격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러-우 전쟁의 협상 전까지는 에너지와 식량 가격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함께보면 유용한 글
[클릭]예금 및 적금 금리, 이율 비교 어플[금리 높은 적금 찾기]
[클릭][연말정산 팁] 사회초년생 연말정산 쉽게 이해하기
'슬기로운 경제생활 > 경제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6일] 기름값 및 국제유가 현황 및 전망 (1) | 2022.07.06 |
---|---|
[7월 5일] 오늘의 금값 및 전망 (0) | 2022.07.05 |
[5월 24일] 기름값, 국제유가 전망과 현황 (1) | 2022.05.24 |
[5월 17일] 오늘의 유가, 기름값 현황 및 전망 (0) | 2022.05.17 |
[5월 8일] 오늘의 금값 현황 및 전망 (0) | 2022.05.08 |